- 프로그램을 신청한 분들께는 4월 17일 목요일 오후 5시까지 문자와 메일을 통해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기타 문의는 홈페이지 내 CONTACT(문의하기) 메뉴를 이용해주세요.
- 환불 정책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7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금액 전액 환불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6일 전~1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금액의 70% 환불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1일 전 이후 취소 시: 환불 불가
- 최소 인원이 충족되지 않아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않을 시, 참가비를 전액 환불해 드립니다.
워머스 문화센터는 페미니즘, 젠더, 노동, 공동체 등에 관한 텍스트를 함께 읽고 공부하고 실천하는 모임입니다. 4월과 5월에는 한 차례씩 만나 페미니즘과 공동체, 그리고 운동에 관해 고민하고 돌아볼 수 있는 책과 자료를 읽어보려고 해요. '각자도생'이 시대정신이 되어버린 지금, 페미니즘 공동체는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 우리는 '개인됨'을 유지하면서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지금 나/우리 각자의 상황과 속해 있는 공동체를 생각해보고, 각자가 어떤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지 상상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총 2회차로 진행됩니다.
✍️ 어떤 자료를 함께 읽나요?
+ 논문: 박기남(2012), 개인화 시대의 여성운동 방향 탐색: 한국여성민우회의 회원 인터뷰를 중심으로
+ 논문: Friedman, Marilyn(1989), Feminism and modern friendship: Dislocating the community
+ 책: 한디디 <커먼즈란 무엇인가>(2024)
* 논문 파일은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공유 드립니다. 책은 각자 구매하시면 됩니다.
✍️ 언제, 어떻게 참여하나요?
- 일시
- 1회차: 4월 24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2회차: 5월 15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장소: 온라인(줌)
- 참가비: 11,000원 (2회 전체)
- 모집 인원: 최대 12인
- 신청 기간: 4월 11일(금)-4월 17일(목) 오후 12시
* 프로그램을 신청하신 분들께는 4월 17일 목요일 오후 5시까지 메일과 문자로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참가하시는 분들께 논문 파일(PDF)을 제공합니다. 회차별 텍스트를 모두 읽고 줌 모임에 참가해 주세요.
워머스 문화센터는 페미니즘, 젠더, 노동, 공동체 등에 관한 텍스트를 함께 읽고 공부하고 실천하는 모임입니다. 4월과 5월에는 한 차례씩 만나 페미니즘과 공동체, 그리고 운동에 관해 고민하고 돌아볼 수 있는 책과 자료를 읽어보려고 해요. '각자도생'이 시대정신이 되어버린 지금, 페미니즘 공동체는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 우리는 '개인됨'을 유지하면서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지금 나/우리 각자의 상황과 속해 있는 공동체를 생각해보고, 각자가 어떤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지 상상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총 2회차로 진행됩니다.
✍️ 어떤 자료를 함께 읽나요?
+ 논문: 박기남(2012), 개인화 시대의 여성운동 방향 탐색: 한국여성민우회의 회원 인터뷰를 중심으로
+ 논문: Friedman, Marilyn(1989), Feminism and modern friendship: Dislocating the community
+ 책: 한디디 <커먼즈란 무엇인가>(2024)
* 논문 파일은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공유 드립니다. 책은 각자 구매하시면 됩니다.
✍️ 언제, 어떻게 참여하나요?
- 일시
- 1회차: 4월 24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2회차: 5월 15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장소: 온라인(줌)
- 참가비: 11,000원 (2회 전체)
- 모집 인원: 최대 12인
- 신청 기간: 4월 11일(금)-4월 17일(목) 오후 12시
* 프로그램을 신청하신 분들께는 4월 17일 목요일 오후 5시까지 메일과 문자로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참가하시는 분들께 논문 파일(PDF)을 제공합니다. 회차별 텍스트를 모두 읽고 줌 모임에 참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