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을 신청한 분들께는 1월 17일 금요일 오후 5시까지 문자와 메일을 통해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기타 문의는 홈페이지 내 CONTACT(문의하기) 메뉴를 이용해주세요.
- 환불 정책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7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금액 전액 환불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6일 전~1일 전까지 취소 시: 이용금액의 70% 환불
- 프로그램 시작일로부터 1일 전 이후 취소 시: 환불 불가
- 최소 인원이 충족되지 않아 프로그램이 진행되지 않을 시, 참가비를 전액 환불해 드립니다.
더 나은 민주주의를 고민하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광장에서 트랜스/퀴어 혐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젠더’와 ‘노동’을 중심 키워드 삼아 함께 읽고 공부하고 실천하는 뉴그라운드 내 모임인 ‘워머스 문화센터’에서는 이같은 현상에 문제 의식을 느끼고,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과 트랜스젠더의 노동에 관한 논문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과 페미니즘은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트랜스젠더의 노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세 편의 논문들을 함께 읽을 예정입니다. 트랜스/퀴어 혐오를 묵인하거나 재생산하고 싶지 않은 분들이라면, 1월의 워머스 문화센터에 함께 해 주세요.
✍️ 어떤 논문을 함께 읽나요?
+ 김지혜(2011), 페미니즘, 레즈비언/퀴어 이론, 트랜스젠더리즘 사이의 긴장과 중첩
+ 김수영(2017), 트랜스여성의 노동과 복합적인 젠더 실천
+ 루인(2018), 젠더로 경합/불화하는 정치학: 트랜스젠더퀴어,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연구의 이론사를 개괄하기
✍️ 언제, 어떻게 참여하나요?
- 일시: 1월 23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장소: 온라인(줌)
- 참가비: 5,000원 (프로그램 참가자분들께는 뉴그라운드 새 시즌 멤버십 신청에 사용할 수 있는 5,000원 할인코드를 제공합니다.)
- 모집 인원: 최대 5인
- 신청 기간: 1월 10일(금)-1월 17일(금) 오후 12시
* 프로그램을 신청하신 분들께는 1월 17일 금요일 오후 5시까지 메일과 문자로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참가하시는 분들께 논문 파일(PDF)을 제공합니다. 논문을 모두 읽고 줌 모임에 참가해 주세요.
더 나은 민주주의를 고민하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광장에서 트랜스/퀴어 혐오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젠더’와 ‘노동’을 중심 키워드 삼아 함께 읽고 공부하고 실천하는 뉴그라운드 내 모임인 ‘워머스 문화센터’에서는 이같은 현상에 문제 의식을 느끼고,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과 트랜스젠더의 노동에 관한 논문을 읽고 이야기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과 페미니즘은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트랜스 젠더퀴어 이론의 가능성은 무엇인지, 트랜스젠더의 노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볼 수 있는 세 편의 논문들을 함께 읽을 예정입니다. 트랜스/퀴어 혐오를 묵인하거나 재생산하고 싶지 않은 분들이라면, 1월의 워머스 문화센터에 함께 해 주세요.
✍️ 어떤 논문을 함께 읽나요?
+ 김지혜(2011), 페미니즘, 레즈비언/퀴어 이론, 트랜스젠더리즘 사이의 긴장과 중첩
+ 김수영(2017), 트랜스여성의 노동과 복합적인 젠더 실천
+ 루인(2018), 젠더로 경합/불화하는 정치학: 트랜스젠더퀴어,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연구의 이론사를 개괄하기
✍️ 언제, 어떻게 참여하나요?
- 일시: 1월 23일(목) 저녁 8시-9시 30분
- 장소: 온라인(줌)
- 참가비: 5,000원 (프로그램 참가자분들께는 뉴그라운드 새 시즌 멤버십 신청에 사용할 수 있는 5,000원 할인코드를 제공합니다.)
- 모집 인원: 최대 5인
- 신청 기간: 1월 10일(금)-1월 17일(금) 오후 12시
* 프로그램을 신청하신 분들께는 1월 17일 금요일 오후 5시까지 메일과 문자로 참여 안내를 드립니다.
* 참가하시는 분들께 논문 파일(PDF)을 제공합니다. 논문을 모두 읽고 줌 모임에 참가해 주세요.